[블랙홀] 무조건 모든 걸 빨아들인다? 여러 매체에서 블랙홀을 무엇이든 빨아들이고 다른 차원 등으로 연결하는 구멍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블랙홀이 된다고 해서 질량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즉 지구가 어느 날 갑자기 블랙홀이 된다고 해도 그 블랙홀 위에 지구 크기의 껍데기를 씌우면 그 위에 사는 사람은 지.. 좋은상식 2014.10.08
[블랙홀] 특징 이전에는 직접적인 관측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으나, 네이처의 학술연구결과로 블랙홀은 매우 밝은 빛을 띄며 눈으로도 관측된다고 발표했다. 오색 파장으로 뒤덮인 블랙홀이 인상적.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면 절대 탈출할 수 없다. 탈출 속도가 광속보다 큰데, 어떠한 것도 빛보다 빠.. 좋은상식 2014.10.05
[블랙홀] 소멸 블랙홀도 결국엔 죽는다. 블랙홀은 천천히 증발하며 질량이 줄어든다. 그와 동시에 블랙홀은 밝아지기 시작하며, 거의 마지막에 증발이 심해져서 창백하게 빛나며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을 방출한다. 마지막에는 폭발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격렬하게 증발하고는 소멸한다. 에너지가 높.. 좋은상식 2014.10.02
[블랙홀] 비유 질량과 중력의 관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천문학계에선 쇠구슬의 비유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은데, 가령 어느 2차원의 세계의 경우 공간이 넓다란 천의 형태가 되며, 그 천 위에 놓여있는 물질이(예: 쇠구슬) 무거울수록(즉 질량이 클수록) 이 천은 심하게 움푹 패이게 된다. 그렇다.. 좋은상식 2014.09.30
[블랙홀] #2 형성 항성의 크기를 유지하는 에너지는 항성 내부에서의 핵융합에서 나온다. 핵융합으로 발생하는 에너지가 중력을 이기고 항성을 구성하는 물질들을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항성은 막대한 질량을 가지고도 스스로 붕괴하지 않는다. 하지만 항성의 연료가 전부 소모되어 더 이상 핵융합을 .. 좋은상식 2014.09.28
[블랙홀] #1 개요 Blackhole. 질량이 매우 큰 항성이 초신성 혹은 극초신성이 되면서 껍데기를 날려버리고, 남은 핵이 급속히 수축하다가 슈바르트실트 반경보다 작아지면서 형성되는 천체. 강한 중력으로 인해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 어느 물체도 탈출할 수 없다. 블랙홀이라는 이름은 빛조차 빠져나가지 .. 좋은상식 2014.09.27